NHK 종합 텔레비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HK 종합 텔레비전은 일본의 공영 방송사인 NHK가 운영하는 텔레비전 채널이다. 수신료로 운영되며 광고 방송을 하지 않고, 재난방송 주관 방송사로 지정되어 있다. 1939년 실험 방송을 시작하여 1953년 2월 1일 도쿄에서 본 방송을 개시했으며, 이후 전국으로 방송망을 확대했다. 2009년부터는 영어 채널인 JIB TV를 통해 국제 시청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디지털 방송 전환을 거쳐 현재는 NHK Plus를 통해 동시 시청 및 다시보기 서비스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3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일본방송협회
일본방송협회(NHK)는 1924년 도쿄방송국으로 설립되어 1926년 사단법인으로 통합된 후, 1950년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어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 방송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공영 방송을 제공하며 수신료로 운영되지만, 수신료 징수 방식, 정치적 중립성, 내부 문제 등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1953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체코슬로바키아 텔레비전
- NHK - 일본방송협회
일본방송협회(NHK)는 1924년 도쿄방송국으로 설립되어 1926년 사단법인으로 통합된 후, 1950년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어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 방송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공영 방송을 제공하며 수신료로 운영되지만, 수신료 징수 방식, 정치적 중립성, 내부 문제 등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NHK - NHK-FM방송
NHK-FM방송은 일본방송협회(NHK)의 공영 FM 라디오 방송 채널로, 1957년 실험 방송을 시작하여 1969년 본방송을 개시, 전국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장르의 음악과 교양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인터넷 방송도 제공한다.
NHK 종합 텔레비전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개국일 | 1953년 2월 1일 |
화질 | 1080i HDTV (레터박스 480i로 다운스케일, SDTV 피드용) |
국가 | 일본 |
언어 | 일본어(영어/원어는 이중언어 프로그램에서 서브 오디오로 이용 가능) |
본사 위치 | 일본, 도쿄도, 시부야구, NHK 방송 센터 |
자매 채널 | NHK 교육 텔레비전 NHK BS NHK BS 프리미엄 4K NHK BS8K |
웹사이트 | NHK 공식 웹사이트 |
방송망 | 디지털 지상파 |
채널 번호 | 1번 (상업 방송국이 1번 채널에서 운영되는 현에서는 3번) |
추가 정보 | |
소유주 | NHK |
관련 채널 | NHK 교육 텔레비전 NHK BS NHK BS 프리미엄 4K NHK BS8K |
온라인 서비스 | 종합 - NHK 플러스 링크 종합2 - NHK 플러스 링크 |
슬로건 | (정보 없음) |
지상파 난시청 대책 위성 방송 | |
운영 사업자 | 일본방송협회(NHK) |
본사 위치 | 도쿄도 시부야구 진난 2丁目2番1号 NHK 방송 센터 |
장르 | 지상파 디지털 난시청 대책 위성 방송 |
방송 내용 |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사이멀 방송(멀티 편성의 경우는 주요 프로그램만) |
특별 위성 방송 | BS 디지털 |
특별 플랫폼 | (정보 없음) |
특별 사업자 | 사단법인 디지털 방송 추진 협회 |
특별 채널 | 291 |
물리 채널 | BS-17ch |
특별 개국일 | 2010년 3월 11일 |
특별 폐국일 | 2015년 3월 31일 |
링크 | NHK 공식 웹사이트 |
특기 사항 | 지상파 난시 대책 위성 방송 대상 목록(화이트 리스트)에 게재된 지구만 시청 가능 |
2. 특징
1953년 2월 1일 도쿄에서 개국한 NHK 종합 텔레비전은 일본 최초의 텔레비전 채널이다.[1] NHK 교육 텔레비전(2011년부터 E-tele로 불림)과 달리 종합적인 편성을 하고 있어 '종합 텔레비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일본 전국에서 거의 통일된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E 텔레와 달리, 종합 텔레비전은 각 지역 방송국에서 제작한 지역별 프로그램을 편성한다. 아날로그 시대에는 관동 광역권(1도 6현)에서만 광역 방송을 했고, 나머지 40개 현은 현 단위 방송을 했다. 디지털 시대에는 2004년에 이바라키현이, 2012년에 토치기현과 군마현이 현 단위 방송으로 전환하여, 남관동 4개 현만 광역 방송을 한다. 전국적으로 방송되는 뉴스 프로그램은 도쿄 스튜디오에서 NHK 뉴스 부서에서 제작한다.
방송 초기에는 텔레비전 보급이 적었고, 자체 프로그램 제작도 어려워 NHK 라디오 프로그램을 텔레비전에 맞게 각색하기도 했다.[10]
종합 TV의 관동 지역 시청률(비디오 리서치 조사)은 1963년부터 1986년까지 24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11][12] 그러나 1987년 후지 TV(Fuji TV)에 1위를 내줬고, 1988년과 1989년에는 다시 1위를 되찾았지만, 이후로는 그 자리에서 멀어졌다.
『NHK 홍백가합전』 등의 영향으로 연간 시청률 1위는 종합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경우가 많다. 2001년까지는 연간 시청률 1위를 내준 적이 없었지만, 2002년 이후로는 국제 스포츠 중계의 일본전 등에 1위를 빼앗기기도 한다.
3. 연혁
::: 오사카는 연주소를 오사카 방송 회관에, 송신소를 이코마산에 설치하고, 시험 방송 시대와 같은 VHF4ch로 영상 출력은 10KW로 증강하여 송신되었다.
::: 연주소와 송신소를 당시 나고야시나카구 마루노우치 (현재의 "나고야 시립 마루노우치 중학교"의 위치)에 있던 나고야 방송국 부지 내에 설치하고, 시험 방송 시대와 같은 VHF5ch·영상 출력 5KW로 송신되었다.
:::* 종합 텔레비전, UHF 텔레비전시험 방송에서는 월 - 금요일의 14시대 후반 - 16시대 전반을 방송 중지하고, 심야에는 23시에 방송 종료[36]。
:::* 종합 방송 (종합 텔레비전·라디오 제1·FM 방송)의 완전 24시간화는 지진·태풍·호우 등 천재가 발생한 경우를 대상으로 한 재해 대책 기본법과, 테러 등 대규모의 유사시가 발생한 경우를 대상으로 한 여러 법률의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조치.3. 1. 초기 (1939년 ~ 1960년대)
NHK는 1939년부터 1940년까지 실험 방송을 실시했다(제2차 세계 대전 참전으로 중단).[13] 1950년 점령이 끝난 후 도쿄에서 채널 3을 통해 하루 1시간, 주 3일 VHF 실험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나고야와 오사카에서도 비슷한 실험이 실시되었다.)[15][16][17]
최초의 정규 방송은 1953년 2월 1일 JOAK-TV 호출 부호로 도쿄에서 시작되었다.[20][21] 도쿄 외 최초의 방송국은 오사카의 JOBK-TV(1954년 3월 1일 오전 8시)와 나고야의 JOCK-TV(같은 날 오전 11시)였다. 이날 오후 2시에는 새로운 방송국을 소개하고 각 도시 관계자들의 축하 메시지를 담은 특별 프로그램이 방송되었다.[22]
1956년에는 네트워크가 센다이, 히로시마, 후쿠오카로 확장되었다.[119][120][121] 같은 해 나고야 방송국은 채널 5에서 채널 3으로 변경되었다. 1957년 5월 29일부터 12월 23일까지 나가노, 시즈오카, 가나자와, 오카야마, 마쓰야마 및 고쿠라(기타큐슈)에 추가 방송국이 개국했다. 첫 아침 방송은 1957년 10월 7일에 시작되었고, 도쿄에서 최초의 실험 컬러 방송은 12월 28일에 시작되었다.[122]
1958년 11월 29일, 오사카 방송국은 채널 4에서 채널 2로 변경되었고, 1959년 4월 6일, 도쿄 방송국은 채널 3에서 채널 1로 변경되었다.[123]
1960년 9월 10일, 도쿄와 오사카에서 컬러 텔레비전 본방송이 시작되었다.
3. 2. 발전 (1970년대 ~ 1990년대)
1970년 4월 - NHK UHF 텔레비전 실험 방송국이 도쿄와 오사카에서 개국(두 방송국 모두 UHF 14ch에서 방송).[119]
1974년 1월 16일 - 유류 파동으로 인해 낮[124], 심야방송[125]을 일부 휴지.[126]
1975년 4월 7일 - UHF 텔레비전 시험 방송 종료.
1982년 12월 17일 - 음성다중방송 개시.
1984년 4월 - 오일 쇼크 당시부터 계속되던 심야 방송 휴지를 전면 해제.
1985년 11월 - 문자다중방송 개시.
1996년 4월 - 주말(금·토요일 심야)에 한정적 24시간 방송 개시. 동시에 평일 방송 종료 시간을 심야 2시로 연장.
1997년 4월 - 24시간 방송 개시(일요일 심야 제외. 방송 기점은 오전 5시).
3. 3. 디지털 전환 이후 (2000년대 ~ 현재)
2000년 4월, NHK 종합은 일요일 24시간 방송을 실시했다(1, 3번째 주 일요일 제외).[119]
2003년 12월 1일 오전 11시, 도쿄, 나고야, 오사카 일부 지역에서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본방송을 개시했다.[119]
2011년 7월 24일, 디지털 텔레비전으로 전환하면서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본방송이 종료되었다.[119]
디지털 방송 시작에 따라, 이바라키현에서 현역 방송을 시작했다. 2012년 4월 1일부터는 도치기현과 군마현에서도 현역 방송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남관동 4개 현(도쿄도, 가나가와현, 지바현, 사이타마현)에 대해서는 새로운 주 송신 시설 설치가 필요하고, 현재도 '수도권'으로서의 일체적 수요가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디지털화 완료 후 다시 실시 여부를 검토한다는 입장을 밝혔다.[119]
2003년 12월 1일부터 순차적으로 시작된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지데지)을 활용하여 전국 방송의 거의 모든 프로그램이 하이비전 방식으로 제작 및 방송되고 있다. 표준 화질 멀티 방송은 최대 3채널을 사용할 수 있지만, NHK 종합에서는 현재 011과 012(또는 031과 032)만 사용하고 있으며, 013(033)은 사용되지 않는다.[83]
멀티 편성은 기본적으로 프로 야구나 올림픽 중계와 NHK 뉴스 7이 겹치는 경우, 또는 스모 중계와 같이 시간대에 방송되는 주목도가 높은 스포츠 중계가 겹치는 경우 등에 한정된다. 매주 일요일 4:10 - 4:13에 동작 시험 형식으로 정기적으로 실시된다(프로그램은 매주 바뀌지만, 2채널 모두 같은 프로그램이다. 또한, 평일에도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119]
종합 텔레비전의 멀티 편성은 메인 채널(011), 서브 채널(012) 모두 표준 화질로, NHK BS, 미에 TV 등과 같이 메인 채널이나, 지바 TV와 같이 서브 채널도 하이비전 화질은 아니다.[119]
4. 방송 형태
- 대부분의 지역에서 디지털 텔레비전 가상 채널 번호로 1번을 사용하고 있다. 원래 교육 텔레비전처럼 일본 전국 모든 방송국에서 1번을 사용하려고 했으나, 이미 가상 채널 번호로 1번을 할당받은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반발했기 때문에 무산되었다.
-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의 경우 3번을 중심 채널로 사용하는 방송국이 많았는데, 이는 종합 텔레비전이 처음 개국하던 1950년대에서 60년대 사이 1번, 2번, 12번 채널을 주일미군에서 레이다용으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 채널들이 반환된 이후 도쿄 방송국은 기존의 3번에서 1번으로, 오사카 방송국은 4번에서 2번으로 채널을 옮겼지만, 많은 지역에서 1번 채널이 민영 방송국에 할당되었기 때문에 그대로 3번을 사용하게 되었다.
- 간토 광역권(이바라키현 포함)을 제외한 41개 도부현에서 현역방송을 하고 있지만, 디지털 방송의 경우 이바라키현도 현역방송 지역에 포함된다.
-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은 내보내지 않는데, 이는 수신료로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 재난방송 주관 방송사로 지정되고 있다.
- 지진(지진해일)이 발생하거나,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7 이상인 경우 뉴스 속보로 대체로 일부 정규 방송을 중단되는 사례가 있다.
- 일본 혼슈나 규슈·시코쿠 지역에 태풍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 뉴스 속보로 대체로 일부 정규 방송을 중단되는 사례가 있다.
- 지상파 방송의 특성을 살려 지역 대상 프로그램도 방송하고 있다. 주로 평일 11시, 17~18시, 20시 45분 ~ 21시, 금요일 19시 30분 ~ 20시 43분 등이다. 디지털 방송의 데이터 방송에서는 지역 뉴스나 생활 정보를 볼 수 있다.
- 진도 5 미만의 지진이 발생하거나 맹렬한 세력을 가진 태풍이 일본 열도에 접근했을 때는, 예정된 프로그램을 변경·중단하고 뉴스를 방송한다. 태풍이나 장마로 인해 장기간의 장마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밤샘 방송을 한다.
- 가상 채널 번호로 1번을 사용하고 있는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은 다음과 같다.
- * 홋카이도 : 홋카이도 방송(HBC. JNN 계열)
- * 아오모리현 : 아오모리 방송 (RAB. NNN · NNS 계열)
- * 미야기현 : 도호쿠 방송 (TBC. JNN 계열)
- * 도야마현 : 기타니혼 방송 (KNB. NNN · NNS 계열)
- * 주쿄광역권 : 도카이 TV (THK. FNN · FNS 계열)
- * 돗토리현 · 시마네현 : 니혼카이 TV (NKT. NNN · NNS 계열)
- * 도쿠시마현 : 시코쿠 방송 (JRT. NNN · NNS 계열)
- * 후쿠오카현 : 규슈 아사히 방송 (KBC. ANN 계열)
- * 가고시마현 : 미나미니혼 방송 (MBC. JNN 계열)
- NHK 종합 채널의 채널 지정은 다음과 같다.

지역 | 방송국 (한자 이름) | 아날로그 (아날로그 TV만 종료) | 디지털 | 현(県) | ||||
---|---|---|---|---|---|---|---|---|
FM | 라디오 1 | 종합 TV | ||||||
호출 부호 | 채널 | LCN | 호출 부호 | |||||
홋카이도 | 삿포로 (札幌) | JOIK-FM | JOIK | JOIK-TV | 3 | (3) | JOIK-DTV | 이시카리-시리베시-소라치 지청 (삿포로 포함) |
하코다테 (函館) | JOVK-FM | JOVK | JOVK-TV | 4 | JOVK-DTV | 오시마-히야마 지청 | ||
아사히카와 (旭川) | JOCG-FM | JOCG | JOCG-TV | 9 | JOCG-DTV | 가미카와-루모이-소야 지청 | ||
오비히로 (帯広) | JOOG-FM | JOOG | JOOG-TV | 4 | JOOG-DTV | 도카치 지청 | ||
구시로 (釧路) | JOPG-FM | JOPG | JOPG-TV | 9 | JOPG-DTV | 구시로-네무로 지청 | ||
기타미 (北見) | JOKP-FM | JOKP | JOKP-TV | 3 | 아바시리 지청 | |||
무로란 (室蘭) | JOIQ-FM | JOIQ | JOIQ-TV | 9 | 이부리-히다카 지청 | |||
도호쿠 | 아오모리 (青森) | JOTG-FM | JOTG | JOTG-TV | 3 | (3) | JOTG-DTV | 아오모리 |
아키타 (秋田) | JOUK-FM | JOUK | JOUK-TV | 9 | (1) | JOUK-DTV | 아키타 | |
야마가타 (山形) | JOJG-FM | JOJG | JOJG-TV | 8 | JOJG-DTV | 야마가타 | ||
모리오카 (盛岡) | JOQG-FM | JOQG | JOQG-TV | 4 | JOQG-DTV | 이와테 | ||
센다이 (仙台) | JOHK-FM | JOHK | JOHK-TV | 3 | (3) | JOHK-DTV | 미야기 | |
후쿠시마 (福島) | JOFP-FM | JOFP | JOFP-TV | 9 | (1) | JOFP-DTV | 후쿠시마 | |
간토-고신에쓰 | 도쿄 (東京) | JOAK-FM | JOAK | JOAK-TV (도쿄) | 1 | (1) | JOAK-DTV (도쿄) | 도쿄 및 주변 지역 (사이타마, 지바, 요코하마 포함) |
요코하마 (横浜) | JOGP-FM | -- | 1 | 가나가와 | ||||
지바 (千葉) | JOMP-FM | -- | 1 | 지바 | ||||
사이타마 (埼玉) | JOLP-FM | -- | 1 | 사이타마 | ||||
마에바시 (前橋) | JOTP-FM | -- | 1 | JOTP-DTV | 군마 | |||
우쓰노미야 (宇都宮) | JOBP-FM | -- | 1 | JOBP-DTV | 도치기 | |||
미토 (水戸) | JOEP-FM | -- | 1 | JOEP-DTV | 이바라키 | |||
고후 (甲府) | JOKG-FM | JOKG | JOKG-TV | 1 | JOKG-DTV | 야마나시 | ||
나가노 (長野) | JONK-FM | JONK | JONK-TV | 2 | JONK-DTV | 나가노 | ||
니가타 (新潟) | JOQK-FM | JOQK | JOQK-TV | 8 | JOQK-DTV | 니가타 | ||
도카이-호쿠리쿠 | 도야마 (富山) | JOIG-FM | JOIG | JOIG-TV | 3 | (3) | JOIG-DTV | 도야마 |
가나자와 (金沢) | JOJK-FM | JOJK | JOJK-TV | 4 | (1) | JOJK-DTV | 이시카와 | |
후쿠이 (福井) | JOFG-FM | JOFG | JOFG-TV | 9 | JOFG-DTV | 후쿠이 | ||
시즈오카 (静岡) | JOPK-FM | JOPK | JOPK-TV | 9 | JOPK-DTV | 시즈오카 | ||
나고야 (名古屋) | JOCK-FM | JOCK | JOCK-TV | 3 | (3) | JOCK-DTV | 아이치 | |
기후 (岐阜) | JOOP-FM | -- | JOOP-TV | 39/3 | JOOP-DTV | 기후 | ||
쓰 (津) | JONP-FM | -- | JONP-TV | 31/3 | JONP-DTV | 미에 | ||
간사이 | 오사카 (大阪) | JOBK-FM | JOBK | JOBK-TV | 2 | (1) | JOBK-DTV | 오사카 |
고베 (神戸) | JOPP-FM | -- | JOPP-TV | 28/2 | JOPP-DTV | 효고 | ||
교토 (京都) | JOOK-FM | JOOK | JOOK-TV | 32/2 | JOOK-DTV | 교토 | ||
오쓰 (大津) | JOQP-FM | -- | JOQP-TV | 28 | JOQP-DTV | 시가 | ||
히코네 (彦根) 오쓰의 지국 | -- | JOQP | -- | -- | -- | -- | ||
나라 (奈良) | JOUP-FM | -- | JOUP-TV | 51/2 | (1) | JOUP-DTV | 나라 | |
와카야마 (和歌山) | JORP-FM | -- | JORP-TV | 32 | JORP-DTV | 와카야마 | ||
주고쿠 | 돗토리 (鳥取) | JOLG-FM | JOLG | JOLG-TV | 3 | (3) | JOLG-DTV | 돗토리 |
마쓰에 (松江) | JOTK-FM | JOTK | JOTK-TV | 6 | JOTK-DTV | 시마네 | ||
오카야마 (岡山) | JOKK-FM | JOKK | JOKK-TV | 5 | (1) | JOKK-DTV | 오카야마 | |
히로시마 (広島) | JOFK-FM | JOFK | JOFK-TV | 3 | JOFK-DTV | 히로시마 | ||
야마구치 (山口) | JOUG-FM | JOUG | JOUG-TV | 9 | JOUG-DTV | 야마구치 | ||
시코쿠 | 도쿠시마 (徳島) | JOXK-FM | JOXK | JOXK-TV | 3 | (3) | JOXK-DTV | 도쿠시마 |
다카마쓰 (高松) | JOHP-FM | JOHP | JOHP-TV | 37 | (1) | JOHP-DTV | 가가와 | |
마쓰야마 (松山) | JOZK-FM | JOZK | JOZK-TV | 6 | JOZK-DTV | 에히메 | ||
고치 (高知) | JORK-FM | JORK | JORK-TV | 4 | JORK-DTV | 고치 | ||
규슈-오키나와 | 후쿠오카 (福岡) | JOLK-FM | JOLK | JOLK-TV | 3 | (3) | JOLK-DTV | 후쿠오카 (후쿠오카 및 구루메 포함) |
기타큐슈 (北九州) | JOSK-FM | JOSK | JOSK-TV | 6 | JOSK-DTV | 히가시후쿠오카/니시야마구치 (기타큐슈 및 시모노세키 포함) | ||
사가 (佐賀) | JOSP-FM | JOSP | JOSP-TV | 38 | (1) | JOSP-DTV | 사가 | |
나가사키 (長崎) | JOAG-FM | JOAG | JOAG-TV | 3 | JOAG-DTV | 나가사키 | ||
구마모토 (熊本) | JOGK-FM | JOGK | JOGK-TV | 9 | JOGK-DTV | 구마모토 | ||
오이타 (大分) | JOIP-FM | JOIP | JOIP-TV | 3 | JOIP-DTV | 오이타 | ||
미야자키 (宮崎) | JOMG-FM | JOMG | JOMG-TV | 8 | JOMG-DTV | 미야자키 | ||
가고시마 (鹿児島) | JOHG-FM | JOHG | JOHG-TV | 3 | (3) | JOHG-DTV | 가고시마 | |
오키나와 (沖縄) | JOAP-FM | JOAP | JOAP-TV | 2 | (1) | JOAP-DTV | 오키나와 (나하 포함)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center; font-size:smaller"
|-
| colspan="2" style="height:2em; width:2.7%" |\
!style="width:13.9%"|월요일
!style="width:13.9%"|화요일
!style="width:13.9%"|수요일
!style="width:13.9%"|목요일
!style="width:13.9%"|금요일
!style="width:13.9%"|토요일
!style="width:13.9%"|일요일
|-
! rowspan="6" style="height:7em" |18
시
대
!00
|colspan="5"rowspan="2" |NHK 뉴스 ※간사이・홋카이도 이외 지역으로 뒷송출
(간사이 지역에서는 홋토 간사이, 홋카이도 지역에서는 홋토 뉴스 홋카이도를 18:00부터 방송)[5]
|colspan="2" style="height:2.25em" |NHK 뉴스
|-
!05
| rowspan="2" |토코로 씨! 사건이에요
| rowspan="2" |다큐멘터리 72시간
(재방송)
|-
!10
|colspan="5" rowspan="4" |[5]
|-
!35
| colspan="2" style="height:1.25em" |미니 프로그램
|-
!43
| colspan="2" style="height:1.25em" |미니 프로그램
|-
!45
| colspan="2" style="height:1.25em" |NHK 뉴스 645
|-
! rowspan="3" style="height:7em" |19
시
대
!00
|colspan="7"1.25em" |NHK 뉴스 7
|-
!30
| colspan="3" |클로즈업 현대
| rowspan="3" |내일이 달라지는 트리세츠 쇼
|
| rowspan="3" |새 프로젝트 X ~도전자들~
| rowspan="2" |다윈이 왔다!
|-
!57
| rowspan="3" |츠루베의 가족에게 건배
| rowspan="3" |우타콘
| rowspan="3" |수요 스페셜 시간대
| rowspan="3" |치코짱에게 혼날거야!
|-
! rowspan="5" |20
시
대
!00
| rowspan="3" |대하드라마
빛나는 군에게
|-
!15
|샐러리맨 식사
| rowspan="3" |아리요시의 돈 발견! 돌격! 카네오 군
|-
!43
| colspan="5" |#NHK
|-
!45
| colspan="5" rowspan="2" |뉴스 845
|뉴스
|-
!55
| colspan="2" |뉴스・기상 정보(각 지역 방송국)
|-
! rowspan="2" |21
시
대
!00
| colspan="5" rowspan="2" |뉴스 워치 9
| rowspan="2" |새터데이 워치 9
|NHK 스페셜
|-
!50
| rowspan="3" |선데이 스포츠
|-
! rowspan="6" |22
시
대
!00
| rowspan="3" |영상의 세기 버터플라이 이펙트
| rowspan="3" |【드라마 10】
| rowspan="3" |역사 탐정
| rowspan="3" |SONGS[69]
|다큐멘터리 72시간
| rowspan="4" |NHK 스페셜[70]
|-
!30
| rowspan="7" |시간을 달리는 텔레비전 ~지금 보고 싶은 이 한 편~
|-
!40
|뉴스・기상 정보
|-
!45
| colspan="4" rowspan="3" |밤 드라마
|두근두근! NHK 월드 JAPAN
|-
!50
|미니 프로그램
| rowspan="2" 1.25em" |미니 프로그램
|-
!55
|뉴스・기상 정보
|-
! rowspan="6" |23
시
대
!00
| rowspan="2" |더 백야드 지식의 미궁의 뒷면 탐방[71]
| rowspan="2" |나쁜 아이들 모여라
| rowspan="2" |엄청 끌리는 빌딩[72]
| rowspan="2" |토코로 씨! 사건이에요
(재방송)
| rowspan="2" |Venue101
| rowspan="6" |해외 연속 드라마
|-
!15
|-
!30
| colspan="5" |뉴스・기상 정보
| rowspan="2" |만화가 이에나가의 복잡 사회를 초정의
|-
!35
| colspan="5" 1.25em" |시론・공론
|-
!45
| colspan="5" 1.25em" |미니 프로그램
| rowspan="3" |애니메이션 시간대
|-
!50
| colspan="5" rowspan="9" |재방송 시간대
or
미드나이트 채널
|-
! rowspan="7" |24
시
대
!00
| rowspan="3" |다큐멘터리 20min
|-
!10
| rowspan="4" |정규 프로그램으로 가는 길
|-
|-
!20
|-
!25
|미니 프로그램
|-
!35
| rowspan="4" |미드나이트 채널
|-
!40
| rowspan="2" rowspan="5" |재방송 시간대
or
미드나이트 채널
|-
!45
|-
!25
시
대
|\
24시 이후는 실제 날짜로는 다음 날에 해당한다.[73]
- 연도별 방송시간 변천은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small"
|년도||방송 시작||방송 종료||colspan="2"|비고
|-
|1953년||12:00||21:00||colspan="2"|중단 13:30 - 18:30
(단, 토·일·공휴일은 부정기적으로 "스페셜 이벤트"라는 특별 방송을 하는 날이 있었으며, 그 날은 종일 방송이었다)
|-
|1954년||11:55||21:10→21:30||colspan="2"|중단 13:40 - 18:00
(단, 토·일·공휴일은 부정기적으로 "스페셜 이벤트"라는 특별 방송을 하는 날이 있었으며, 그 날은 종일 방송이었다)
10월 이후 방송 종료 연기.
|-
|1955년|| rowspan="3" |11:30||21:30||colspan="2"|중단 13:30 - 18:00
(평일만. 토·일·공휴일은 "스페셜 이벤트"라는 특별 방송이 있어 종일 방송이었다)
|-
|1956년||22:00||colspan="2"|중단 13:10 - 18:00
(평일만. 토·일·공휴일은 "스페셜 이벤트"라는 특별 방송이 있어 종일 방송이었다)
|-
|1957년||22:30||colspan="2"|중단 13:35 - 18:00
(평일만. 토·일·공휴일은 "스페셜 이벤트"라는 특별 방송이 있어 종일 방송이었다)
|-
|1958년||7:30→7:00||23:00→23:07||colspan="2"|중단 8:30 - 10:58, 13:40 - 18:00
(평일과 토요일 오전만. 토요일 오후와 일요일은 종일 방송)
10월 이후 방송 시작 앞당김.
|-
|1959년|| rowspan="2" |7:00||23:10||colspan="2"|중단 8:15 - 11:00, 13:40 - 18:00
(평일과 토요일 오전만. 토요일 오후와 일요일은 종일 방송)
|-
|1960년||23:15||colspan="2"|중단 8:15 - 10:30, 14:15 - 17:50
(평일과 토요일 오전만. 토요일 오후와 일요일은 종일 방송)
|-
|1961년||6:30||23:45||colspan="2"|중단 9:00 - 10:00, 14:38 - 17:30
(평일과 토요일 오전만. 토요일 오후와 일요일은 종일 방송)
토·일은 23:50 종료.
|-
|1962년||6:25||23:50||colspan="2"|평일의 중단이 폐지되어 종일 방송으로
|-
|1963년 - 1974년 1월 15일|| rowspan="5" |6:00||23:58||colspan="2"|
|-
|1974년 1월 16일 - 3월 31일||23:00||colspan="2"|중단 14:35 - 15:30(평일만)
제1기 오일 쇼크에 의해 방송 시간 단축[74]。
|-
|1974년 4월 1일 - 9월 8일|| rowspan="2" |23:15|| colspan="2" |중단 15:05 - 16:25 (평일만)
제1기 오일 쇼크에 의해 방송 시간 단축[74]。
|-
|1974년 9월 9일 - 1983년|| colspan="2" |1974년 9월 9일부로 낮 시간 중단 폐지
1975년부터 토요일에 한해, 1978년부터 금요일, 토요일은 후에 『밤의 지정석』방송 개시와 함께 23:58(정확히는 23:57.30초)까지 방송 시간을 연장.
|-
|1984년 - 1991년||23:58
(정확히는 23:57.30초)||colspan="2"|월 - 목·일요일의 23시대 방송을 연장
1988년 9월 18일 - 1989년 1월 7일까지는 잠정적으로 24시간 방송
(당초 23:57 - 6:00→1988년 11월 - 1989년 1월은 0:57 - 6:00에 필러,
1988년 11월 - 1989년 3월까지는 23:57 - 0:57에 임시로 NHK 스페셜 등의 앙코르 방송을 실시).
1989년 금요일은 0:52까지 시간을 확대하여 NHK 최초의 날짜 변경 편성 실시.
1990년부터 토요일만 0:30(1991년은 0:15)까지 방송 시간 확대.
|-
|1992년|| rowspan="2" |5:57||23:58
(정확히는 23:57.30초)||colspan="2"|토요일은 0:03까지로 사실상 날짜 변경 편성은 일단 중단.
|-
|1993년||월 - 목 0:05
금 0:10
토 0:20
일 0:00||colspan="2"|금·토요일의 날짜 변경 편성을 본격 재개.
|-
|1994년||5:55→5:50||평일 0:05
토 0:20
일 0:00||colspan="2"|
|-
|1995년|| rowspan="5" |5:00||평일 1:00
토 1:30
일 0:00||colspan="2"|방송 시간을 확대, 새벽 5시대, 심야 24시대에 정시 프로그램 편성
|-
|1996년||월 - 목 2:00
금·토 24시간 방송(5:00 기점)
일 0:00||colspan="2"|심야 방송을 확대, 금·토요일은 24시간 방송을 실시[75]。
|-
|1997년 - 1999년||월 - 토 24시간 방송(5:00 기점)
일 0:00||colspan="2"|일요일 심야를 제외하고 24시간 방송 완전 실시[75]。
|-
|2000년 4월 - 6월||제1·3 일요일 1:00
그 외 요일은 24시간 방송(5:00 기점)||colspan="2"|제1·3주를 제외하고 일요일도 24시간 방송 시작[76]
|-
|2000년 7월 - 2004년 3월|| rowspan="6" |24시간 방송
(기점 시간은 좌기 참조)||colspan="2"|일요일의 24시간 방송 완전 실시(방송 휴지는 주로 제1·3 일요일[77][76]을 중심으로 각 국 임의 설정)
|-
|2004년 4월 - 2005년 9월||4:30||rowspan="5"|방송 휴지는 주로 일요일 심야(한 달에 1·2주 정도)[77]에 각 국 임의로 설정。||rowspan="3"|
|-
|2005년 10월 - 2008년 3월||4:20[78]
|-
|2008년 4월 - 2018년 3월||4:15[78]
|-
|2018년 4월 - 2022년 3월||화 - 금요일 4:00[78]
월·토·일요일 4:15||화 - 금요일 방송분의 정션은 2018년 4월 - 2020년 9월까지 3:48 - 3:50, 2020년 10월 - 2022년 3월은 4:33 - 4:35에 방송.
|-
|2022년 4월 - 현재||월 - 토요일 4:00[78]
일요일
5. 네트워크
NHK 종합 텔레비전은 일본 전역에 걸쳐 다양한 지역 방송을 제공한다. NHK 교육 텔레비전(ETV)이 전국적으로 통일된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것과 달리, 종합 텔레비전은 각 지역 방송국에서 제작한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지역별 특색을 반영한다.[1]
아날로그 시대에는 관동 광역권(1도 6현)에만 광역 방송을 실시하고, 나머지 40개 현은 현 단위 방송을 했다. 디지털 시대로 전환되면서 2004년 이바라키현, 2012년 도치기현과 군마현이 현 단위 방송으로 전환되어, 현재는 관동 남부 4개 현에서만 광역 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방송되는 뉴스 프로그램은 도쿄 스튜디오의 NHK 뉴스 부서에서 제작한다.
지역 | 방송국 (한자 이름) | 아날로그 (종료) | 디지털 | 현(県) | ||||
---|---|---|---|---|---|---|---|---|
FM | 라디오 1 | 종합 TV | ||||||
호출 부호 | 채널 | LCN | 호출 부호 | |||||
홋카이도 | 삿포로 (札幌) | JOIK-FM | JOIK | JOIK-TV | 3 | (3) | JOIK-DTV | 이시카리-시리베시-소라치 지청 (삿포로 포함) |
하코다테 (函館) | JOVK-FM | JOVK | JOVK-TV | 4 | JOVK-DTV | 오시마-히야마 지청 | ||
아사히카와 (旭川) | JOCG-FM | JOCG | JOCG-TV | 9 | JOCG-DTV | 가미카와-루모이-소야 지청 | ||
오비히로 (帯広) | JOOG-FM | JOOG | JOOG-TV | 4 | JOOG-DTV | 도카치 지청 | ||
구시로 (釧路) | JOPG-FM | JOPG | JOPG-TV | 9 | JOPG-DTV | 구시로-네무로 지청 | ||
기타미 (北見) | JOKP-FM | JOKP | JOKP-TV | 3 | 아바시리 지청 | |||
무로란 (室蘭) | JOIQ-FM | JOIQ | JOIQ-TV | 9 | 이부리-히다카 지청 | |||
도호쿠 | 아오모리 (青森) | JOTG-FM | JOTG | JOTG-TV | 3 | (3) | JOTG-DTV | 아오모리 |
아키타 (秋田) | JOUK-FM | JOUK | JOUK-TV | 9 | (1) | JOUK-DTV | 아키타 | |
야마가타 (山形) | JOJG-FM | JOJG | JOJG-TV | 8 | JOJG-DTV | 야마가타 | ||
모리오카 (盛岡) | JOQG-FM | JOQG | JOQG-TV | 4 | JOQG-DTV | 이와테 | ||
센다이 (仙台) | JOHK-FM | JOHK | JOHK-TV | 3 | (3) | JOHK-DTV | 미야기 | |
후쿠시마 (福島) | JOFP-FM | JOFP | JOFP-TV | 9 | (1) | JOFP-DTV | 후쿠시마 | |
간토-고신에쓰 | 도쿄 (東京) | JOAK-FM | JOAK | JOAK-TV | 1 | (1) | JOAK-DTV | 도쿄 및 주변 지역 (사이타마, 지바, 요코하마 포함) |
요코하마 (横浜) | JOGP-FM | -- | 1 | 가나가와 | ||||
지바 (千葉) | JOMP-FM | -- | 1 | 지바 | ||||
사이타마 (埼玉) | JOLP-FM | -- | 1 | 사이타마 | ||||
마에바시 (前橋) | JOTP-FM | -- | 1 | JOTP-DTV | 군마 | |||
우쓰노미야 (宇都宮) | JOBP-FM | -- | 1 | JOBP-DTV | 도치기 | |||
미토 (水戸) | JOEP-FM | -- | 1 | JOEP-DTV | 이바라키 | |||
고후 (甲府) | JOKG-FM | JOKG | JOKG-TV | 1 | JOKG-DTV | 야마나시 | ||
나가노 (長野) | JONK-FM | JONK | JONK-TV | 2 | JONK-DTV | 나가노 | ||
니가타 (新潟) | JOQK-FM | JOQK | JOQK-TV | 8 | JOQK-DTV | 니가타 | ||
도카이-호쿠리쿠 | 도야마 (富山) | JOIG-FM | JOIG | JOIG-TV | 3 | (3) | JOIG-DTV | 도야마 |
가나자와 (金沢) | JOJK-FM | JOJK | JOJK-TV | 4 | (1) | JOJK-DTV | 이시카와 | |
후쿠이 (福井) | JOFG-FM | JOFG | JOFG-TV | 9 | JOFG-DTV | 후쿠이 | ||
시즈오카 (静岡) | JOPK-FM | JOPK | JOPK-TV | 9 | JOPK-DTV | 시즈오카 | ||
나고야 (名古屋) | JOCK-FM | JOCK | JOCK-TV | 3 | (3) | JOCK-DTV | 아이치 | |
기후 (岐阜) | JOOP-FM | -- | JOOP-TV | 39/3 | JOOP-DTV | 기후 | ||
쓰 (津) | JONP-FM | -- | JONP-TV | 31/3 | JONP-DTV | 미에 | ||
간사이 | 오사카 (大阪) | JOBK-FM | JOBK | JOBK-TV | 2 | (1) | JOBK-DTV | 오사카 |
고베 (神戸) | JOPP-FM | -- | JOPP-TV | 28/2 | JOPP-DTV | 효고 | ||
교토 (京都) | JOOK-FM | JOOK | JOOK-TV | 32/2 | JOOK-DTV | 교토 | ||
오쓰 (大津) | JOQP-FM | -- | JOQP-TV | 28 | JOQP-DTV | 시가 | ||
히코네 (彦根) 오쓰의 지국 | -- | JOQP | -- | -- | -- | -- | ||
나라 (奈良) | JOUP-FM | -- | JOUP-TV | 51/2 | (1) | JOUP-DTV | 나라 | |
와카야마 (和歌山) | JORP-FM | -- | JORP-TV | 32 | JORP-DTV | 와카야마 | ||
주고쿠 | 돗토리 (鳥取) | JOLG-FM | JOLG | JOLG-TV | 3 | (3) | JOLG-DTV | 돗토리 |
마쓰에 (松江) | JOTK-FM | JOTK | JOTK-TV | 6 | JOTK-DTV | 시마네 | ||
오카야마 (岡山) | JOKK-FM | JOKK | JOKK-TV | 5 | (1) | JOKK-DTV | 오카야마 | |
히로시마 (広島) | JOFK-FM | JOFK | JOFK-TV | 3 | JOFK-DTV | 히로시마 | ||
야마구치 (山口) | JOUG-FM | JOUG | JOUG-TV | 9 | JOUG-DTV | 야마구치 | ||
시코쿠 | 도쿠시마 (徳島) | JOXK-FM | JOXK | JOXK-TV | 3 | (3) | JOXK-DTV | 도쿠시마 |
다카마쓰 (高松) | JOHP-FM | JOHP | JOHP-TV | 37 | (1) | JOHP-DTV | 가가와 | |
마쓰야마 (松山) | JOZK-FM | JOZK | JOZK-TV | 6 | JOZK-DTV | 에히메 | ||
고치 (高知) | JORK-FM | JORK | JORK-TV | 4 | JORK-DTV | 고치 | ||
규슈-오키나와 | 후쿠오카 (福岡) | JOLK-FM | JOLK | JOLK-TV | 3 | (3) | JOLK-DTV | 후쿠오카 (후쿠오카 및 구루메 포함) |
기타큐슈 (北九州) | JOSK-FM | JOSK | JOSK-TV | 6 | JOSK-DTV | 히가시후쿠오카/니시야마구치 (기타큐슈 및 시모노세키 포함) | ||
사가 (佐賀) | JOSP-FM | JOSP | JOSP-TV | 38 | (1) | JOSP-DTV | 사가 | |
나가사키 (長崎) | JOAG-FM | JOAG | JOAG-TV | 3 | JOAG-DTV | 나가사키 | ||
구마모토 (熊本) | JOGK-FM | JOGK | JOGK-TV | 9 | JOGK-DTV | 구마모토 | ||
오이타 (大分) | JOIP-FM | JOIP | JOIP-TV | 3 | JOIP-DTV | 오이타 | ||
미야자키 (宮崎) | JOMG-FM | JOMG | JOMG-TV | 8 | JOMG-DTV | 미야자키 | ||
가고시마 (鹿児島) | JOHG-FM | JOHG | JOHG-TV | 3 | (3) | JOHG-DTV | 가고시마 | |
오키나와 (沖縄) | JOAP-FM | JOAP | JOAP-TV | 2 | (1) | JOAP-DTV | 오키나와 (나하 포함) |
각 방송국 정보는 일본방송협회 방송국 목록을 참조하면 된다.
- 남칸토 1도 3현 이외에는 현역 방송을 기본으로 하지만, 홋카이도와 후쿠오카현은 지역별 방송을 실시한다.
- '''굵은 글씨'''는 거점국이다.
- 호출 부호(콜 사인)는 라디오 제1방송의 "JO◇◇" 뒤에 "-DTV"가 붙는다. 아날로그 방송에서는 "-TV"였다.
- 디지털 방송의 리모컨 키 ID는 라디오 제'''1'''방송에 따라 "'''1'''"[86](지도에서 빨간색)이 원칙이지만, "'''1'''"에 민방이 할당된 지역은 "'''3'''"(파란색)이 된다.
- 아날로그 방송의 가이드 채널은 전국 일률 '''80ch'''였다.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NHK는 종합 텔레비전의 리모컨 키 ID를 전국 통일 "1"로 희망했지만, 1ch가 민방에 할당된 지역에서는 민방의 의사와 시청자 편의를 존중하여 "3"이 할당되었다.[112][113]
6. JIB TV
JIB TV는 2009년부터 국제 시청자를 위해 일본과 아시아에 관한 영어 프로그램을 제작해온 일본 텔레비전 회사이다. 이 프로그램은 일본 공영 방송사인 NHK의 영어 채널 NHK 월드를 통해 전 세계에 방송되며, JIB TV 웹사이트를 통해서도 시청할 수 있다. NHK 월드 TV와 제작사인 JIB는 일본 및 아시아 문화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전파하고, CNN 인터내셔널과 BBC 월드와 같은 채널에 대한 균형을 맞추기 위해 2009년에 설립되었다.
주식회사 일본국제방송(Japan International Broadcasting Company)은 공영 방송사인 NHK가 60%,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 일본 은행 미즈호 은행(Mizuho)과 같은 이해 관계를 가진 기업이 40%를 소유하고 있다. 운영 자금은 대부분 일본 TV 시청료 납부자가 부담하지만, 외부 스폰서와 광고주로부터도 지원을 받는다. 방송은 아스트라 및 유텔셋 위성을 통해 스칸디나비아 국가에 도달한다. 향후 주요 케이블 및 IPTV 사업자를 통해서도 배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Kohaku Uta Gassen and Japanese People
Chikuma Shobo
2013-11
[2]
서적
All records TV ratings 50-year war-100 million people were impressed at that time
Kodansha
2004
[3]
웹사이트
On the occasion of the opening of the Osaka/Nagoya Television Station ―From BK Daiichi Studio― Greetings Congratulatory Message Film Television is making rapid progress ― NHK/TV Osaka/Nagoya opening ―
https://www.nhk.or.j[...]
NHK
2023-07-27
[4]
웹사이트
データベースで探す
https://www.nhk.or.j[...]
NHK
2024-01-04
[5]
뉴스
NHK総合で26日夜放送 樹木希林さん最後のドキュメンタリー 「私を撮ってもいいわよ」 昨年6月から密着
https://www.sankei.c[...]
2018-09-19
[6]
웹사이트
朝ドラ『純ちゃんの応援歌』NHK総合で再放送 『マー姉ちゃん』もBSプレミアムで
https://www.oricon.c[...]
2021-08-19
[7]
뉴스
NHK、五輪閉会式をEテレで手話付き放送へ…ろうあ連盟「総合テレビで」
https://www.yomiuri.[...]
2021-08-04
[8]
뉴스
「鎌倉殿の13人」初回 世界トレンド1位!総合テレビ本放送前に早くも 注目度高く
https://www.sponichi[...]
2022-01-09
[9]
문서
Colors|white|#F26649|NHK G → Colors|white|#ff2600|NHK G(文字配列はRuby|G|NHK):日本の地上デジタルテレビ放送|地上デジタル放送のチャンネルアイコンでも表示される。
[10]
서적
紅白歌合戦と日本人
筑摩書房
2013-11
[11]
서적
全記録 テレビ視聴率50年戦争―そのとき一億人が感動した
講談社
2004
[12]
문서
1978年の年間の全日視聴率は、総合テレビとTBSテレビ|TBSとが10.1%で同率1位であった。なお、この年(1978年)にはTBSが年間視聴率で3冠王を獲得している。
[13]
웹사이트
"よく見えますか」テレビ受像公開実験 (1939) - 日本放送技術発達小史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テレビドラマのはじまり 12分間の『夕餉前(ゆうげまえ)』 - 日本放送技術発達小史
https://web.archive.[...]
[15]
웹사이트
日本放送協会総合技術研究所『五十年史』(1981.03)
https://shashi.shibu[...]
[16]
웹사이트
1953 NHKは自前技術でテレビ放送を開始 - 日本放送技術発達小史
https://web.archive.[...]
[17]
웹사이트
日本放送協会総合技術研究所『五十年史』(1981.03)
https://shashi.shibu[...]
[18]
웹사이트
日本放送協会総合技術研究所『五十年史』(1981.03)
https://shashi.shibu[...]
[19]
웹사이트
日本放送協会総合技術研究所『五十年史』(1981.03)
https://shashi.shibu[...]
[20]
간행물
NHK東京テレビジョン開局に当つて 1 挨拶 2 祝辞 3 舞台劇「道行初音旅」―吉野山の場―
NHKアーカイブス
[21]
문서
開局日の編成 14時 - NHK東京テレビジョン開局に当つて(1.挨拶 2.祝辞 3.舞台劇「道行初音旅」-吉野山の場-) 15時 - 映画 15時30分 - オペラよもやま話 16時 - 放送休止 18時30分 - 子供の時間(1.歌『テンテンテレ』 2.ヴァラエティ 四つの星座(上野一雄構成) 19時 - ニュース映画 19時15分 - きょうの天気あすの天気 1.話 2.今日の天気 明日の予報 19時20分 - ニュース 19時25分 - 番組予告他 19時30分 - 今週の明星 - 日比谷公会堂から中継 - 20時 - 漫才 君のあだ名 20時15分 - 現代舞踊 日本の太鼓(伊福部昭・作曲) 20時45分 - 受信者の皆様へ 対談「テレビジョンの誕生」(これが当日の最終番組) 出典:NHK総合昭和28年2月1日番組表 - NHKクロニカル
[22]
간행물
大阪・名古屋テレビジョン局開局に当って ―BK第一スタジオより― 挨拶 祝辞 映画 躍進するテレビジョン―NHK・TV大阪・名古屋開局―
NHKアーカイブス
[23]
웹사이트
NHKアーカイブス NHKクロニクル
https://www.nhk.or.j[...]
[24]
웹사이트
日本放送協会総合技術研究所『五十年史』(1981.03) 102ページ (渋沢社史データベース)(2023年6月29日閲覧)
https://shashi.shibu[...]
[25]
웹사이트
日本放送協会総合技術研究所『五十年史』(1981.03) 95ページ (渋沢社史データベース)(2023年6月29日閲覧)
https://shashi.shibu[...]
[26]
문서
同放送の初めの番組は、米の劇映画『ぼくはついてる』
[27]
웹사이트
NHKクロニクル 1969年12月21日「劇映画 「ぼくはついてる」」
https://www.nhk.or.j[...]
[28]
문서
同放送の初めの番組は『NHKコンサートホール』。
[29]
웹사이트
NHKクロニクル「NHKコンサートホール」1970年8月9日
https://www.nhk.or.j[...]
[30]
문서
最後のカラー化番組は『NHKのど自慢』。
[31]
웹사이트
アカイさん資料室
http://www.nhk.or.jp[...]
NHKアーカイブス
[32]
문서
NHKアーカイブスの番組表検索によると、番組の間に放送される「SB」(ステーションブレイク(ステブレ)編成。短い告知など)が10月9日までは白黒テレビ|白黒で10日からカラーとなっており、「日本放送協会|NHK年鑑’11」の「放送史ミニ年表」では10月10日で全面カラー化としている。なお新聞縮刷版のテレビ欄によると『NHKのど自慢』『明るい農村』には、その後も白黒で放送された回が存在する。
[33]
문서
NHKアーカイブスの番組表検索によると、その後も番組の一部分が白黒で放送された記録があり、同年10月28日の「第26回国民体育大会秋季大会-第5日-」では弓道が白黒(同枠内の陸上競技はカラー)、各地方局が取材した地元の話題を紹介する『日本ところどころ』では1972年4月2日までの一部の回で、取り上げられた話題のうち1件が白黒で放送されている。その他、カラーの報道・情報番組の中で沖縄からの中継が白黒で行われた例があり、同検索で確認できるものでは1974年3月12日の「日本航空ハイジャック事件#日本航空903便ハイジャック事件|日航機ハイジャック」が最後となっている。
[34]
간행물
14:35.20―15:29.40 放送時間短縮のためお休みします
NHKアーカイブス
[35]
간행물
SB 放送時間短縮のため23:00以降お休みします
NHKアーカイブス
[36]
문서
国会中継や高校野球中継が行われた場合は休止時間帯でも放送されていた
[37]
문서
金曜・土曜のみ
[38]
웹사이트
1984年4月2日総合番組表
https://www.nhk.or.j[...]
[39]
웹사이트
1984年5月12日衛星第1番組表
https://www.nhk.or.j[...]
[40]
웹사이트
1984年5月12日衛星第1番組表
https://www.nhk.or.j[...]
[41]
웹사이트
1987年7月4日 衛星第2 番組表
https://www.nhk.or.j[...]
[42]
NHKアーカイブス
ニュース「天皇陛下の容体に変化の可能性あり」
[43]
NHKアーカイブス
臨時ニュース「天皇陛下 崩御」
[44]
NHKアーカイブス
特集「新天皇・新時代」
[45]
웹사이트
1989年6月3日 衛星第2 番組表
https://www.nhk.or.j[...]
[46]
NHKアーカイブス
地震情報
[47]
문서
早朝5時開始はこれ以前にも夏休み期間限定で行われていたことがある。深夜の日またぎも同様に夏・冬休み・春休みに期間限定で実施されていたが、定時編成としては1993年4月から行われており、この時は0時から放送日の上での最終版NHKニュースを5分だけ流して放送終了となっていた。1995年の放送時間枠拡大で本格的に日またぎ編成を開始した
[48]
문서
1998年4月からNHK-FM放送も24時間本放送を開始したが、多くは送信所をFMとアナログ総合で供用したため、休止日を併せていた。ただ、2011年のアナログ総合の放送終了後は、必ずしもデジタル総合とFMが同じ日に放送休止とならないこともある
[49]
문서
ただし原則として第1・3日曜としているが、第2・4・5日曜も局によって休止にする場合もある
[50]
웹사이트
ニュース・気象情報 | 番組表検索結果詳細 | NHKクロニクル
https://www2.nhk.or.[...]
[51]
NHK放送史
地上デジタル放送開始記念番組 いよいよ始まる!デジタルテレビ新時代
[52]
NHKアーカイブス
地上デジタル放送開始記念番組 「デジタルテレビ新時代~世界遺産からのメッセージ
[53]
문서
ハイビジョンによるニュース素材の配信回線は2003年8月に運用開始
[54]
문서
新聞発表上は従来どおり4時30分が1日の基点とされ、『視点・論点』の再放送が1日の最終番組扱いとされた。日曜日・月曜日は別番組であるが、日曜日の『新日本紀行ふたたび』再放送(地域により初回放送)は日曜日1日の初めの番組と扱われた
[55]
문서
新聞発表上は従来どおり4時30分が1日の基点とされたが、NHK公式サイトの番組表は『シリーズ世界遺産100』が最終番組扱いとなり、『視点・論点』は削除された。日曜日・月曜日は別番組だったが、日曜日の『新日本紀行ふたたび』再放送は日曜日1日の初めの番組と扱われた
[56]
문서
大河ドラマや、一部の宣伝番組では2010年12月まで14:9サイズのセミレターボックスでの放送を継続していた
[57]
NHKアーカイブス
全波緊急警報放送<QF付き>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関連
[58]
문서
その後BShiのみで3月14日より「先行」再開した
[59]
NHKアーカイブス
そのとき、みんなテレビを見ていた! - 地上デジタル移行関連特番 - 「アナログ波・番組終了のおしらせ」
[60]
문서
進行フォーマットは前年7月に放送されたものと同じ
[61]
문서
ただし放送日付変更のためのジャンクションは原則として、2020年9月までは『視点・論点』の前の3時48分 - 3時50分に、2020年10月以後は4時33分 - 4時35分、2022年度からは3時58 - 4時(日曜朝のみ4時13分 - 4時15分。大相撲本場所期間中は25分繰り上げ)に放送されている。また新聞発表上は従来どおり『NHKニュースおはよう日本』第1部の開始時間が1日の基点とされ、その前に放送されている再放送番組(ミッドナイトチャンネルの項参照)が1日の最終番組の扱いとなっている
[62]
웹사이트
常時同時配信・見逃し番組配信サービスの開始について
https://web.archive.[...]
日本放送協会(2020年1月15日作成)
2020-03-07
[63]
뉴스
NHK、番組表ロゴとウォーターマーク変更。デザインやサイズ統一
https://av.watch.imp[...]
AV Watch
2020-03-30
[64]
문서
これによりジャンクションも、3時58分 - 4時(日曜は4時13分 - 4時15分。大相撲本場所期間中はそれぞれ25分前倒し)となった。日曜日を除き従来通り新聞の番組表は『おはよう日本』第1部の開始である5時を基点としており、その前の番組が最終番組扱いとなっている
[65]
웹사이트
1953年2月1日 総合 番組表
https://www.nhk.or.j[...]
[66]
서적
NHK趣味講座テキスト「カラオケ演歌歌唱法Ⅲ」日本放送出版協会、1993年、P.86「テレビ歌謡番組の変遷」
[67]
간행물
2024年度(令和6年度)前半期放送番組時刻表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メディア総局
2024-02-14
[68]
웹사이트
2024年度前半期 定時番組の部門種別(各地域)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
2024-03-02
[69]
문서
月1回、「The Covers」を放送
[70]
문서
随時土曜のみ特集番組もしくは土曜ドラマ (NHK)を放送
[71]
문서
随時、セレクション番組を放送
[72]
문서
月1回、「明鏡止水 武の五輪」を放送
[73]
웹사이트
NHKクロニクル | NHKアーカイブス
https://www.nhk.or.j[...]
[74]
서적
NHK年鑑'74
NHK出版
1974-09-25
[75]
문서
主に9月・10月と翌年2月・3月の特定の2週間程度も集中メンテナンスを行う日があり、その場合は全国一斉で放送時間短縮とする日もあった。
[76]
문서
当時、24時間放送を実施していた教育テレビ(現・Eテレ)は、総合テレビの放送休止を補填する目的で、日曜日のうち、第1・3週の放送を終日放送(5:00起点)としていた。なお第2・4・5週は0:45 - 5:00を休止にしていたが、2006年3月に24時間放送を廃止し、深夜のメンテナンスの時間を毎日設けることになった。
[77]
문서
集中メンテナンス日も引き続き設定しているが、これも各局任意設定となった
[78]
문서
ただし、新聞テレビ番組表の上では、月-金曜早朝は『[[NHKニュースおはよう日本]]』第1部(2004年4月 - 2020年4月10日までと2020年7月6日 - 9月25日は4:30開始、2020年4月13日 - 7月3日(新型コロナウィルス拡大に伴うスタッフ人員削減のため)と同年9月27日以後は5:00開始)の開始時間を起点としている。
[79]
문서
[[大相撲・幕内の全取組]]を放送する都合上
[80]
문서
ただしお盆の期間は[[全国高等学校野球選手権大会]]の会期と被るため、日中帯はほとんど高校野球中継に充てられお盆の季節特番は夜間に組まれることが多い(なお雨天順延時には過去に放送したお盆の季節特番の再放送が放送されるケースもある)。なお一部の地域はその季節特番をローカルの特番(主にその時期に開催される[[花火大会]]や[[ねぶた]]など古くから地域に根付いている祭事の中継)に差し替えることもある。
[81]
문서
その祝日に絡んだ内容のものが多い。近年は平日の同時間帯に編成されている生放送レギュラー番組の特別編が組まれるケースもある(特に『[[あさイチ]]』。)。なお[[山の日]]に関連した山・登山関係の特集番組は先述の理由により夜間または[[NHK BSプレミアム|BSプレミアム]]で編成されることが多い。
[82]
문서
なお、対戦するチームの本拠地の放送局やその放送局が拠点局となるブロック([[東北楽天ゴールデンイーグルス|楽天]]なら[[NHK仙台放送局|仙台放送局]]とNHK東北ブロックの各局)ではメインチャンネルでも中継することが多いため、それ以外の地域のメインチャンネルで放送される全国ネット番組は返上または後日時差放送される。この他スポーツ中継をメインチャンネルで放送し全国ネット番組をサブチャンネルで放送するパターンもある。
[83]
문서
013chは主に[[東海テレビ放送|東海テレビ]]などの民放で使用。033chも関東圏では[[テレビ神奈川|tvk]]などの独立局で使用されている。
[84]
문서
「目指せ!地デジ芸人 ウーイェイ」は当該時間以外にもアナログとデジタルで同時刻に放送される事もあったが、内容は一部異なりアナログ放送では番組最後に『ご覧の放送はアナログ放送である』という文字が大きく表示されていた。
[85]
간행물
受話器の向こうのNHK 放送センター24時間の記録
D0009040606_00000
[86]
문서
東京地区においてのアナログ放送のチャンネル番号という意味もある。
[87]
문서
北見市内には別途「新北見中継局」が置かれている。
[88]
문서
1991年11月の免許更新を機に呼出符号廃止。
[89]
문서
長野市内には別途「善光寺平中継局」が置かれている。
[90]
문서
開局自体は2005年12月1日。
[91]
문서
デジタル放送移行に伴う「アナ・アナ変換」によるチャンネル変更。
[92]
문서
時期不明ながら免許更新時に呼出符号廃止。
[93]
문서
表記チャンネルによる県域放送開始日。其の10年以上前から、「実験局」などの名目で大阪局の中継局として運用されてきた。
[94]
문서
福山市内の彦山におけるチャンネル。
[95]
문서
2003年11月の免許更新時に呼出符号廃止。
[96]
문서
尾道市向島町の高見山送信所におけるチャンネル。
[97]
문서
開局時は「尾道放送局」。1967年3月15日付で今の福山市内に移転し改称。
[98]
문서
親局は毛無山。
[99]
문서
親局は鉢伏山。
[100]
문서
大都市圏以外初の民放テレビ局である[[日本海テレビジョン放送]](JOJX-TV、1ch)に合わせた。
[101]
문서
山口市内は鴻ノ峯中継局などでカバー。
[102]
문서
1963年2月9日までは「小倉(こくら)放送局」。
[103]
문서
デジタル放送は段階的にフルパワー化したこともあり、当初は[[識別信号|呼出名称]]だけが付与され、呼出符号の付与が保留されていた。
[104]
문서
開局時から1kWで放送を続けてきたが、[[テレビ西日本]]福岡局(JOJY-TV)増力などによる混信対策として増力した。
[105]
문서
開局時はJOAT-TVで、1982年11月の免許更新時に変更。1991年11月の免許更新迄に呼出符号廃止。
[106]
기타
[107]
기타
[108]
기타
[109]
기타
[110]
기타
[111]
기타
[112]
기타
[113]
기타
[114]
기타
[115]
기타
[116]
기타
[117]
기타
http://livedoor.blog[...]
[118]
기타
[119]
기타
[120]
기타
[121]
기타
[122]
기타
[123]
기타
[124]
기타
[125]
기타
[126]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